반응형 전체 글17 05. 옵션(option sets) 옵션은? 옵션은 미리 지정해놓은 정적 데이터 값입니다. 동일하게 반복되거나 예상되는 값(일종의 변수)이 있다면 그때그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보다 미리 옵션으로 지정해놓고 불러오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예를 들어 FAQ를 작성한다고 했을 때 카테고리 값을 미리 정리해둔다면 나중에 유저에게 특정 카테고리의 FAQ만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겠죠. 상단 'Option sets'로 들어가 주세요. 좌측에서 'New option set'를 추가할 수 있는 영역이 있고 여기서 새 옵션을 추가하게 되면 상단 목록에 노출됩니다. 옵션을 선택하면 우측에 해당 옵션의 옵션 값을 관리할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되는데요. 여기서 옵션 값을 추가하고 수정하거나 옵션 값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속성(Attributes).. 2022. 5. 1. 04. 데이터 구조 설계 - 2) 데이터 필드 (data field) 데이터 필드란? 데이터 필드는 지정된 데이터 타입을 구성하는 요소 값입니다. 데이터를 정의하는 방법과 같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이 데이터 필드로 구성되어 있고 향후 사이트의 UI나 워크플로우를 설계할 때도 데이터 필드를 활용하게 됩니다. 데이터 필드는 또 각 필드 값의 유형을 설정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상품'이라는 데이터 타입이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이 상품은 아마 제목, 소개, 가격, 제품 사진 등의 데이터 필드로 구성되어 있을 겁니다. 여기서 제목의 유형은 당연히 문자열(텍스트)이 되겠죠. 소개 역시 텍스트일 겁니다. 하지만 가격의 유형은 숫자, 소수점이 없기 때문에 정수(Integer)가 될 것이고 제품 사진의 유형은 이미지가 될 것입니다. 이렇게 각기 다른 유형으로 데이터 필드를 구성하면 .. 2022. 4. 30. 04. 데이터 구조 설계 - 1) 데이터 타입 (data types) 데이터 타입이란? 버블은 동적 데이터를 다루는 웹앱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지원합니다. 덕분에 굉장히 쉽게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원하는 대로 설계할 수가 있는데요. 그러려면 가장 먼저 데이터 타입을 지정해야 합니다. 데이터 타입은 유저에게 동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의 항목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상품을 판매하는 사이트라고 할 때, 유저에게 상품을 보여주려면 데이터베이스에 '상품'이라는 데이터 항목이 있어야 하겠죠. 그리고 그 항목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필드 값)를 지정해놓으면 각기 다른 상품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버블에서 새 앱을 만들면 'User'의 데이터 타입이 기본 생성됩니다. 이 'User' 타입은 삭제가 되지 않습니다. 데이터 타입을 지정했다면 상단 탭에서 'App da.. 2022. 4. 29. 1. 노코드는? - 노코드 VS 코드 노코드 알기 전에 코드부터 알아보아요! 노코드는 문자 그대로 코드를 쓰지 않고 코드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을 대신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코드는 무엇일까요? 코드는 컴퓨터를 동작하게 하는 기계 언어입니다. 컴퓨터는 인간이 쓰는 언어를 알아듣지 못합니다. 내장되어 있는 반도체가 전기의 흐름으로 명령을 인식하고 동작하는데, 이때 쓰는 것이 바로 0과1로 이루어진 2진법으로 만든 언어입니다. 과거 컴퓨터가 처음 탄생했을 때는 정말로 구리 회선을 이진법으로 구성해 컴퓨터에 연산 처리를 명령했다고 하는데요. 굉장히 어려웠기 때문에 소수만 컴퓨터를 다룰 수 있었습니다. 이후 컴파일 개념이 탄생하면서 점차 개발 언어도 발전했죠. 기계어에 가까운 C부터 요 몇 년 새 붐이 일었던 파이썬 등등 지금도 계속해서 새로운 언어.. 2022. 4. 28. 앱을 삭제하면 같은 이름으로 다시 등록이 안되나요? 버블은 같은 이름을 또 쓸 수 없어요 많은 분들이 버블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됐을 때 흔히 하는 실수 중 하나입니다. 처음 내 앱을 생성한 뒤 이것저것 둘러보다가 초기화가 귀찮아 아예 삭제하곤 하는데요. (저도 그랬습니다.) 그러고 같은 이름으로 다시 앱을 생성하려고 하니 다음과 같은 에러 창이 뜨면서 생성이 안되어 당황하게 될 거예요. 그래서 질문에 대한 답을 해보자면, Q. 앱을 삭제하면 같은 이름으로 다시 등록이 안 되나요? A. 네 안됩니다. 그 이유에 대한 버블의 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체적인 인덱싱(색인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한 번 사용한 이름은 앱을 삭제한다고 하더라도 버블 내부 데이터로 남기 때문에 같은 이름으로 새 앱 등록이 안됩니다. 인덱싱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까지는 알려지지 않.. 2022. 4. 13. 03. 페이지 구조 설계 - 2) 유저가 페이지를 이동하게 하는 방법 유저가 내가 만든 사이트, 웹앱을 이용한다는 것은 내가 설계한 대로 유저가 페이지를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페이지 이동이 잘 설계되어 있다면 그만큼 유저가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좋은 경험을 얻게 되고, 나아가 비즈니스 성과로도 연결되겠죠. 이렇게 유저의 사이트 이용을 위해 설계된 페이지(사이트)를 보통 UI(User Interface)라고 부릅니다. 또 이런 UI를 설계하고 구축하는 작업을 프론트엔드(동의어 : 프론트, 앞단 등)라고 하는데요. 맨 앞에서 유저를 만나 유저의 사용 여정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부르고, 주로 HTML, CSS, Java Script를 다루는 웹디자이너와 퍼블리셔가 작업을 담당합니다. (프론트엔드 디자이너, UI 디자이너라고도 함) 그리고 이렇게 설계된 UI로 유저가 .. 2022. 4. 1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