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버블 강의9 버블 할인, 크레딧, 쿠폰 혜택 지원 받는 방법 총정리 버블은 무료 요금제에서는 개발은 가능하지만 배포는 되지 않죠. 그래서 유저에게 내가 개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요금제를 이용해야 합니다. 서비스 종료를 염두에 두고 서비스를 오픈하는 사람은 없기 때문에 요즘제를 결제한다는 것은 아무래도 지속적인 유지 비용의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다행히 버블이 최근 모든 앱의 최초 1회 14일간의 무료 트라이얼 제공에 나서면서 이를 잘 활용하면 티저 페이지 같은 단발성 웹사이트는 단기간이나마 무료로 활용이 가능한 상황인데요. 14일이 지나면 이용 중인 플랜의 결제가 시작되니 약간의 아쉬움이 남습니다. 그런데 버블이 몇 가지의 할인, 지원 혜택을 갖고 있다는 사실,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무조건적인 혜택은 아니지만 그래도 아예 혜택 없이 .. 2022. 12. 5. 로그인-비로그인 상관 없이 최초 방문자에게만 팝업 띄우기 유저가 사이트를 최초 방문했을 때 팝업을 띄우고, 로그인이나 비로그인 상관없이 유저가 '다시 보지 않기'를 선택한다면 유저가 재 접속 했을 때 동일한 팝업을 띄우지 않도록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유저마다 다른 설정으로 개별 경험을 줄 수 있어 UX 설계 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1. Local storage 플러그인 설치 플러그인에서 'Local Storage' 검색 후 설치해주세요. 'Local Storage' 플러그인은 유저의 브라우저에 있는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해주는 플러그인입니다. 이걸 활용하면 로그인 - 비로그인 상태와 상관없이 유저의 브라우저 스토리지에 상태 값을 저장할 수 있게 되죠. 이 속성을 활용해 기능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2. 페이지에 Local Storag.. 2022. 6. 19. 05. 옵션(option sets) 옵션은? 옵션은 미리 지정해놓은 정적 데이터 값입니다. 동일하게 반복되거나 예상되는 값(일종의 변수)이 있다면 그때그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보다 미리 옵션으로 지정해놓고 불러오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예를 들어 FAQ를 작성한다고 했을 때 카테고리 값을 미리 정리해둔다면 나중에 유저에게 특정 카테고리의 FAQ만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겠죠. 상단 'Option sets'로 들어가 주세요. 좌측에서 'New option set'를 추가할 수 있는 영역이 있고 여기서 새 옵션을 추가하게 되면 상단 목록에 노출됩니다. 옵션을 선택하면 우측에 해당 옵션의 옵션 값을 관리할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되는데요. 여기서 옵션 값을 추가하고 수정하거나 옵션 값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속성(Attributes).. 2022. 5. 1. 04. 데이터 구조 설계 - 2) 데이터 필드 (data field) 데이터 필드란? 데이터 필드는 지정된 데이터 타입을 구성하는 요소 값입니다. 데이터를 정의하는 방법과 같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이 데이터 필드로 구성되어 있고 향후 사이트의 UI나 워크플로우를 설계할 때도 데이터 필드를 활용하게 됩니다. 데이터 필드는 또 각 필드 값의 유형을 설정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상품'이라는 데이터 타입이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이 상품은 아마 제목, 소개, 가격, 제품 사진 등의 데이터 필드로 구성되어 있을 겁니다. 여기서 제목의 유형은 당연히 문자열(텍스트)이 되겠죠. 소개 역시 텍스트일 겁니다. 하지만 가격의 유형은 숫자, 소수점이 없기 때문에 정수(Integer)가 될 것이고 제품 사진의 유형은 이미지가 될 것입니다. 이렇게 각기 다른 유형으로 데이터 필드를 구성하면 .. 2022. 4. 30. 04. 데이터 구조 설계 - 1) 데이터 타입 (data types) 데이터 타입이란? 버블은 동적 데이터를 다루는 웹앱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지원합니다. 덕분에 굉장히 쉽게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원하는 대로 설계할 수가 있는데요. 그러려면 가장 먼저 데이터 타입을 지정해야 합니다. 데이터 타입은 유저에게 동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의 항목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상품을 판매하는 사이트라고 할 때, 유저에게 상품을 보여주려면 데이터베이스에 '상품'이라는 데이터 항목이 있어야 하겠죠. 그리고 그 항목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필드 값)를 지정해놓으면 각기 다른 상품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버블에서 새 앱을 만들면 'User'의 데이터 타입이 기본 생성됩니다. 이 'User' 타입은 삭제가 되지 않습니다. 데이터 타입을 지정했다면 상단 탭에서 'App da.. 2022. 4. 29. 03. 페이지 구조 설계 - 2) 유저가 페이지를 이동하게 하는 방법 유저가 내가 만든 사이트, 웹앱을 이용한다는 것은 내가 설계한 대로 유저가 페이지를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페이지 이동이 잘 설계되어 있다면 그만큼 유저가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좋은 경험을 얻게 되고, 나아가 비즈니스 성과로도 연결되겠죠. 이렇게 유저의 사이트 이용을 위해 설계된 페이지(사이트)를 보통 UI(User Interface)라고 부릅니다. 또 이런 UI를 설계하고 구축하는 작업을 프론트엔드(동의어 : 프론트, 앞단 등)라고 하는데요. 맨 앞에서 유저를 만나 유저의 사용 여정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부르고, 주로 HTML, CSS, Java Script를 다루는 웹디자이너와 퍼블리셔가 작업을 담당합니다. (프론트엔드 디자이너, UI 디자이너라고도 함) 그리고 이렇게 설계된 UI로 유저가 .. 2022. 4. 12. 이전 1 2 다음 반응형